-
무엇을 바꾸나?
-
청년도약계좌는 올해 말까지만 신규 가입 가능, 이후 중단 예정(기존 가입자는 유지)
-
청년미래적금으로 대체: 가입 기간을 1~3년 선택형으로 단축하고, 일정 소득 이하 청년에 정부 매칭(추가 적립)을 붙이는 구조가 유력
-
누가 대상인가? (검토 중)
-
연령: 만 19~34세 청년 중심(병역이행 연장 여부 미정)
-
소득: 일정 소득 이하의 근로·사업소득자 우선 지원
-
중소·중견기업 재직 청년에게 우대 검토
-
적립 구조와 혜택(안)
-
기간: 1년, 2년, 3년 중 선택(최대 3년)
-
정부 매칭: 적립액의 일정 비율을 만기 시 추가 적립 (공약 수준에서는 최대 25% 거론, 최종 비율은 예산 협의 후 확정)
-
세제: 이자 비과세 또는 절세 혜택 포함 검토
-
청년도약계좌 vs 청년미래적금
-
기간: 도약계좌는 5년 고정, 미래적금은 최대 3년 선택
-
지원 방식: 도약계좌는 매월 지원+우대금리, 미래적금은 만기 정부 매칭 방식
-
대상 연령: 도약계좌는 만 19~34세, 미래적금도 동일 연령대 검토
-
상태: 도약계좌는 올해 말 신규 중단, 미래적금은 다음 달 세부안 발표 예정
-
예상 가입 흐름
-
정부·금융위 공고 확인 → 대상·기간·매칭비율 확인
-
참여 금융기관 발표 확인 → 앱 또는 창구 신청
-
자격 심사 후 계좌 개설 및 자동이체 설정
-
만기 시 정부 매칭금 지급
-
준비 체크리스트
-
신분증, 본인 명의 계좌, 공동/민간인증서
-
근로·사업소득 증빙: 건강보험 납부확인서, 원천징수영수증, 종합소득세 신고자료 등
-
중소·중견기업 재직 증빙(해당 시)
-
자주 묻는 질문
Q. 도약계좌에서 자동 전환되나요?
A. 아니요. 구조가 달라 자동 전환은 어렵습니다. 기존자는 유지, 신규는 미래적금으로 별도 모집할 가능성이 큽니다.
Q. 매칭 비율은 확정됐나요?
A.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. 공약·보도에서는 최대 25%가 거론되지만, 예산 협의 후 최종 확정됩니다.
Q. 세제 혜택은 있나요?
A. 비과세 또는 절세 혜택이 검토되고 있으나, 구체 내용은 공고 후 확인 가능합니다.
정리: 청년도약계좌가 종료되고, 더 짧은 기간과 정부 매칭 방식이 적용되는 청년미래적금으로 바뀌는 것이 핵심입니다. 세부 조건과 혜택은 반드시 최종 공고를 확인해야 합니다.
0 댓글